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학회 한국화학공학회
학술대회 2001년 가을 (10/19 ~ 10/20, 한밭대학교)
권호 7권 2호, p.4991
발표분야 재료
제목 Stirred Cell을 이용한 BSA, BHb-adsorbed microsphere의 정밀 여과 과정 중의 투과 플럭스의 변화
초록 단백질 흡착에 관련된 상호작용력에는 크게 소수성 상호작용력과 정전기적 상호작용력을 흡착 구동력으로 간주한다. 특히 표면전하밀도에 따라 작용하는 구동력의 관계가 변화한다. 즉 소수성 상호작용력에 의해 흡착된 단백질의 양은 표면전하밀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정전기적 상호작용력에 의해 흡착된 단백질의 양은 표면전하밀도에 따라 증가한다. 소수성 상호작용력과 정전기적 상호작용력간의 전이점이 존재하며 소수성 상호작용력에 의해 흡착된 단백질의 양은 등전점 부근에서 최대이며 pH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반하여 정전기적 상호작용력에 의해 흡착된 단백질의 양은 pH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1,2]. 분리의 구동력으로 소수성 상호작용력과 정전기적 상호작용력을 고려하였다. 이때 소수성 상호작용력은 흡착의 주 구동력으로 작용하며 정전기적 반발력은 흡 착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행해진 회분식 분리실험의 결과 높은 표면전하밀도를 지닌 microsphere보다 낮은 표면전하밀도를 지닌 microsphere 가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분리 실험은 낮은 표면전하밀도를 지닌 microsphere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투과 플럭스 실험은 BSA와 BHb각각에 대해서와 BSA와 BHb의 혼합용액에 대하여 각각의 등전점인 pH 4.5와 pH 7에서 시행하였다. 각각의 단백질의 흡착이 microsphere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단백질이 흡착된 microsphere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Zeta Potential Analyser를 이용해 각각의 Zeta Potential 값을 살펴보았다. 분리 실험은 BSA와 BHb의 혼합용액에서 BHb는 흡착시키고 BSA는 용출시키는 과정이다. 낮은 표면전하밀도 영역이므로 소수성 상호작용력이 주 구동력으로 작용하여 흡착시킬 BHb의 등전점인 pH 7에서 최대흡착이 일어나고, BSA는 주어진 pH에서 음전하를 띄게 되어 음이온성 microsphere와 정전기적 반발을 일으켜 그대로 용출하게 된다. 또한 PS/PMAA microsphere의 경우 강산기의 공중합체를 도입함으로써 수소 결합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저자 박정민, 최성욱, 방시원, 김우식, 함승주
소속 연세대
키워드 BSA; BHb; Microsphere
E-Mail
원문파일 초록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