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2005년 가을 (10/13 ~ 10/14, 제주 ICC)
권호 30권 2호
발표분야 분자전자 부문위원회
제목 Developments on the Highly Efficient Two-photon Absorbing Dithienothiophene Derivatives
초록 놀은 이광자 흡수 활성 (σ)을 가지는 이광자 흡수 소재는 최근 나노과학, 광자공학, 의료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응용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실제 3차원 정보 저장,1,2 센서 보호용 소자, 3차원 미세물 제작,3,4 광역학 치료5 등의 분야에서 핵심적 소재로 응용이 가능하게 때문이다. 그에 따른 최근 십 여 년간 많은 연구진들에 의해 1) 공액 이중 결합을 가지는 π-전자 분자단 중심체와 전자 주게 (electron donor: D)가 대칭으로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에서, 그리고 2) 분자의 π-전자 중심체의 구조가 동일 평면상일 때 높은 이광자 흡수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분자 설계 개념에 근거하여, π-전자 중심체로서 phenyleneethynylene (PE)과 dithieno[3,2-b:2’,3’-d]thiophene (DTT)6을 도입하여 분자내 평면성과 전자밀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전자 주게의 세기에 따른 이광자 흡수 활성을 비교하고자 분자의 양말단에 carbazole, triphenylamine 그리고 N, N-dibutylamine을 말단기로 치환,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DTTPE 유도체들 중 NBu2-DTTPE-NBu2는 지금까지 합성되어진 유기물 중에서 가장 큰 이광자 흡수 활성 값 (11000 GM; 1 GM = 10-50 cm4•s/photon)을 보였다. 이들 색소를 광중합이 가능한 아크릴 레진에 첨가하여 리소그라피법에 의하여 다양한 3차원 나노 구조물을 제작, 그 응용성을 타진하였다.






참고문헌

1. Parthenopoulos, D. A.; Rentzepis, P. M. Science, 249, 843 (1989)
2. Dvornikov, A. S.; Rentzepis, P. M. Opt. Commun., 119, 341 (1995)
3. a) Denk, W.; Strinkler, J. H.; Webb, W. W. Science, 248, 73 (1990)
b) Xu, C. M. J.; Webb, W. W. Opt. Lett, 20, 2532 (1995)
4. Wu, En, S.; Strickler, J. H.; Harrell, W. R.; Webb, W. W. SPIE Proc., 1674, 776 (1992)
5. Bhawalkar, J. D.; Kumar, N. D.; Zhao, C. F.; Prasad, P. N. J. Clin. Laser Med. Surg., 15, 201 (1997)
6. Kim, O.-K; Lee, K.-S.; Woo, H. Y.; Kim, K.-S.; He, G. S.; Swiatkiewicz, J.; Prasad, P. N. Chem. Mater., 12, 284 (2000)
저자 김주연, 이광섭
소속 한남대
키워드 TPA activity; Phenyleneethynylene; Dithienothiophene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