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고분자학회 |
학술대회 | 2005년 봄 (04/14 ~ 04/15, 전경련회관) |
권호 | 30권 1호, p.509 |
발표분야 | 유ㆍ무기 나노섬유 소재 |
제목 | 전기방사된 polyurethaneurea/clay 나노복합섬유의 구조 및 물성분석 |
초록 | Polyurethaneurea (PUU)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는 독특한 고분자로써 다른 단량체와의 합성을 통해서 코팅제, 접착제, 섬유,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와 같은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PUU는 낮은 열안정성과 낮은 물성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organically modified layered silicates (organoclays)를 첨가하여 나노복합체를 합성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한편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섬유는 매우 가는 직경을 가진 섬유로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매우 크고 유연하며 섬유 간 발생하는 미세공간이 많고 단위면적당 존재하는 섬유의 수가 많아서 타 소재와의 혼화가 가능하며 외부의 응력에 대한 분산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2 본 연구에서는 solution blending을 통해서 PUU/clay 나노복합체를 합성하고 전기방사를 통하여 나노섬유 매트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 실험에서 organoclays의 함량을 1%, 3%, 5%로 다르게 하여 합성된 나노복합체 매트의 구조 및 domain형성을 SAX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sample의 clay 함량에 따른 나노섬유의 굵기와 clay의 분산정도를 SEM과 TEM 분석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림 1과 2에 PUU/3%clay 나노섬유 매트의 SEM 이미지와 TEM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또 순수한 PUU와 clay 함량에 따른 PUU/clay 나노복합체 매트의 물성을 Instron를 통하여 측정•비교하였다. Fig.1 Fig.2 Fig. 1 .SEM image of PUU/3%Clay Nanofibers Fig. 2. TEM image of PUU/3%Clay Nanofibers 참고문헌 1. X. Cao, L. J. Lee, T. Widya, C. Macosk,. Polyme. 46, 775 (2005). 2. Z.-M. Huang, Y.-Z. Zhang, M. Kotaki, S. Ramakrishna,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63, 2223 (2003). |
저자 | 홍지혜, 정은환, 이한섭, 육지호 |
소속 | 인하대 |
키워드 | polyurethaneurea; nanofiber; nanocomposi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