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2004년 봄 (04/09 ~ 04/10, 고려대학교)
권호 29권 1호, p.238
발표분야 고분자 합성
제목 광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와 상 분리 거동에 대한 연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toluene diisocyanate (T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분자량 725, 2000, 4000의 poly(propylene glycol) (PPG)을 폴리올로 사용하여 1단계 반응을 수행하였고, 2-hydroxyethyl acrylate (HEA)를 monoalcohol로 사용하여 2단계 반응을 완결하였다. 경화단계에서 사용한 반응성 단량체의 종류는 lauryl methacrylate (LMA), 1-vinyl-2-pyrrolidinone (NVP), 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그리고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PEGDA)이고, 그 양에 따른 최종 경화물의 열적 특성과 상 분리현상을 고찰하였다. 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FT-IR 분석을 행하였고, 열적 특성과 상 분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DSC, XRD를 통해 측정해 보았으며, 그리고 용매에 대한 swelling test를 하였고, 사용된 용매는 N-methyl-2-pyrrolidinone, m-xylene, cyclohexanone이다. 수치적으로 경화물 내의 hard-segment의 양을 계산하였다.
제조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soft-segment내의 폴리올의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상 분리현상은 증가하였고,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TDI의 경우 지방족 IPDI보다 결합력이 커서 상 분리도나 용매에 대한 저항성 등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폴리올의 분자량이 낮으면 상대적으로 hard-segment의 함유 비율이 증가하고 hard-segment와 soft-segment 그리고 반응성 단량체가 단일상을 이루기 때문에 낮은 상 분리로 인한 저온 유리전이온도가 보이지 않았다. LMA, PEGDA, HPMA를 반응성 단량체로 사용한 경우 용매에 대한 저항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NVP를 사용한 경우 우수한 용매 저항성을 보였다. 이는 NVP와 hard-segment사이의 큰 친화성에 기인한다.
저자 박미희, 김도완, 양승진, 권진욱, 이춘근, 한학수
소속 연세대
키워드 광 경화; 상 분리; Hard-segment; Soft-segment;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PDLC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