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고분자학회 |
학술대회 | 2004년 가을 (10/08 ~ 10/09, 경북대학교) |
권호 | 29권 2호, p.277 |
발표분야 | 복합재료 |
제목 | Siloxane segment를 가진 polyurethane/MMT nanocomposites의 제조 및 물성에 관한 연구 |
초록 | 유기화된 소량의 clay를 고분자수지에 박리, 분산시켜 제조한 나노복합재는 열적/기계적 물성 등의 성질이 크게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1 본 연구에서는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MDI)와 polyester type polyol인 Nippollan4010(Mn2000)을 반응시킨 후, siloxane diamine으로 유기화된 Montmorillonite(MMT)를 반응시킨 다음 1,4-butanediol을 chain extender로 하여 polyurethane/MMT nanocomposites를 합성하고자하였다. 이러한 nanocomposites은 clay의 silicate layer에 siloxane 주쇄들이 효과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가짐으로서 단순히 혼합되어 분산된 경우보다 박리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MMT는 siloxane diamine으로 유기화시켰고 MDI와 Nippollan4010을 첨가하여 N,N-Dimethylacetamide (DMAc) 내에서 solid content 25wt%로 조정한 후 용액중합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유기화된 MMT의 함량에 따른 polyurethane/MMT nanocomposites의 구조 및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기화된 MMT의 함량을 전체 반응물의 0wt%, 1wt%, 3wt%, 5wt%로 변화시켰다. 또한 유기화된 MM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a+-MMT의 함량이 전체 반응물의 3wt%, 5wt%가 되도록 단순 혼합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 중 반응 정도는 FT-IR로 확인하였으며, 분산 및 박리정도는 X-ray diffraction(XRD),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으로 관찰하였으며, 인장강도는 UTM(만능시험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열적 성질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Thermogravimetric Analyzer(TGA)을 이용하였으며, 그 외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에너지의 변화를 확인하여 보았다. Table 1. Contact Angle and Surface Energy of Polyurethane/MMT Nanocomposites. Fig.1. Max. StrengthsofPolyurethane/MMT Fig.2. Elongation at break of polyurethane Nanocomposites with different MMT /MMT Nanocomposites with different content. MMT content. Reference 1. H. J. Kim, Y. S. Kim, J. C. Won, M. H. Yi and K. Y. Choi, polymer, 27, 135(2003) 2. Y. W. Tang, J. Applied polym. Sci., Vol.62, 1133 (1996) |
저자 | 이정은, 김형중 |
소속 | 공주대 |
키워드 | polyurethane; MMT; nanocomposit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