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고분자학회 |
학술대회 | 2004년 가을 (10/08 ~ 10/09, 경북대학교) |
권호 | 29권 2호, p.177 |
발표분야 | 고분자 합성 |
제목 | Abietic Acid를 사용하는 광경화형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합성 |
초록 | 로진은 소나무에서 얻어지는 천연물질로서 공업적으로 잉크, 종이, 접착제등에 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다. 로진은 여러 가지 이성질체와 유사체로 구성된 혼합물인데 그 중에서 abietic acid 가 주성분이다. 본 연구자들은 abietic acid가 광이량화가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abietic acid moiety를 함유하는 스티렌계 광경화형 고분자를 합성한바 있다.1, 2 본 연구에서는 공업적인 원료인 에틸렌 옥시드, abietic acid 와 메타크릴산으로부터 abietic acid moiety를 함유하는 새로운 메타크릴레이트 (1)를 합성하고 이 단량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를 아조비스부틸로니트릴 (AIBN)을 사용하여 라디칼 공중합시켜 4종류의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Scheme 1). 이들 공중합체의 조성은 NMR로, 분자량은 GPC로, 열적성질은 DSC 및 TGA로 조사하였으며, 광반응을 위해 자외선을 조사한 후 불용분을 조사하였다. 이들 공중합체중 (1)조성은 Scheme 1에 나타내었다. 수평균분자량은 11,300~67,200였고 다분산지수는 1.56~1.78였으며, 공중합체 유리전이온도는 134~149 ℃였고, 초기분해온도는 373~402 ℃였다. 광반응으로서 광조사량에 따른 불용분을 플로트한 것을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이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abietic acid moiety를 많이 함유할수록 그리고 광조사량이 증가할수록 광반응에 따른 불용분이 증가하였고, 아울러 초기의 작은 광조사량에서도 광경화반응이 빨리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이 고분자가 감광도가 우수한 광경화형 폴리메타크릴레이트라는 것을 뜻한다. Scheme 1. Synthesis of photocrosslinkable polymethacrylates using abietic acid. Figure 1. Insoluble fractions of the polymer with exposure doses. References 1. W. S. Kim, H. S. Jang, K. H. Hong, and K. H. Seo, Macromol. Rapid. Commun, 22, 825 (2001). 2. W. S. Kim, K. R. Byun, D. H. Lee. K. E. Min, L. S. Park, K. H. Seo. I. K. Kang, and S. Y. Park, Polymer J., 35(5), 450-454, (2003). |
저자 | 최재웅, 김민우, 공종윤, 김우식 |
소속 | 경북대 |
키워드 | Abietic acid. 메타크릴레이트; 라디칼중합; 광반응; 잔막수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