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고분자학회 |
학술대회 | 2005년 봄 (04/14 ~ 04/15, 전경련회관) |
권호 | 30권 1호, p.231 |
발표분야 | 기능성 고분자 |
제목 | Phthalimido carbamate as a new group of photobase generator |
초록 | 빛을 받아 염기를 발생시키는 광염기 발생제로는 Co-amine 착화합물, carbamate, o-acyloxime, oxime-urethane 등과 같은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포토레지스트, 자외선경화 조성물, 이미드화 촉매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형광이미지 저장재료 등과 같은 전자정보 재료분야에도 그 응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광염기 발생제의 한 종류로써 phthalimido carbamate 그룹을 갖는 5종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광염기 발생제로서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phthalimido carbamate 유도체에 254 nm의 자외선을 쪼이면 조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1 또한 fluorescamine 과 아민의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생성물의 형광을 측정함으로서 상대적인 아민의 생성량을 관찰하였다.2 아민생성의 광화학반응 메카니즘은 모델 화합물에 빛을 조사한 다음 생성된 화합물을 GC와 HPLC 분석을 통하여 예측되는 구조의 표준물질과 머무름 시간을 비교함으로서 구조를 확인하였다.3 또한 phthalimido carbamate 유도체들의 상대적인 광염기 발생효율은 가열온도, 가열시간, 조사시간, 광염기 발생제의 종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반응조건에 따른 poly(glycidyl methacrylate)의 광가교 반응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4 그 결과, phthalimido carbamate 그룹의 개수가 많을수록 광염기 발생효율 및 광가교 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 1. K. H. Chae, J. C. Gwark, and T. Chang, Macromol. Rapid Commun., 21, 1007-1012 (2000). 2. W. S. Choi, and Y. Y. Noh, and K. H. Chae, Advanced Materials, 17, 000-000 (2005). 3. K. H. Chae and K. H. Sung, J. Polym. Sci : Part A : Polym. Chem, 42. 975-984 (2004). 4. K. H. Chae and H. J. Jang,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0, 1200-1207 (2002). |
저자 | 김유호, 채규호 |
소속 | 전남대 |
키워드 | photobase generator; phthalimido carbamate; photo-crosslink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