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2005년 봄 (04/14 ~ 04/15, 전경련회관)
권호 30권 1호, p.526
발표분야 고분자 합성
제목 Synthesis of Methyl Methacrylate /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For Plastic Optical Fiber
초록 디지털 혁명에 따른 모든 디지털 정보단말기 간의 수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 양이 Gbps급/ Channel으로 커지고 있으나, 기존의 GOF은 적은비용과 가공의 쉬운 장점에 비해 대역폭(bandwidth)이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GI(Granded Index) 형 플라스틱 광섬유는 코어부분의 굴절률이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가면서 점차로 낮아지는 Gaussian분포를 가지며 이 굴절률 분포에 의해 각 광로들의 시간차이가 줄어들어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 굴절률 변화를 위해 C-H원소를 C-F 등의 원소로 대체하면 C-H의 적외선 영역의 흡수가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굴절률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코어재료를 만들기 위해 MMA(Methylmethacrylate)와 TFEMA(2,2,2-Trifluoroethly methacrylate)를 공중합 하였다. 공중합체의 굴절률의 변화를 위해 모노머의 조성을 다르게 조성별로 중합을 하였으며, 중합시간과 온도에 따른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 불소함량 그리고 굴절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전환율은 중합온도가 높을수록 빠른 시간에 높은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얻어진 분자량은 55,000~85,000 였다. 불소의 함량은 모노머의 조성비 보다는 다소 낮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은 중합온도와 시간에는 커다란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불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감소하며 아울러 유리전이온도 감소 및 접촉각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저자 황상일, 강호종
소속 단국대
키워드 plastic optical fiber; MMA; TFEMA(2; 2; 2-Trifluoroethly methacrylate); Refractive index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