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2005년 봄 (04/14 ~ 04/15, 전경련회관)
권호 30권 1호, p.695
발표분야 분자전자 부문위원회
제목 Thermostable Polydiacetylene Supramolecules
초록 광학적, 전기적 또는 전기화학적 변화에 의한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지닌 공액고분자는 label이 필요 없는 센서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 Polydiacetylene을 기반으로 한 system은 자극에 의해서 Blue에서 Red로의 가시적인 색전이를 일으켜 센서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polydiacetylene 초분자체는 자극에 의해 색전이가 일어난 뒤에는 자극을 제거하여도 Blue 로 돌아올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본 연구실에서는 polydiacetyelene 유도체인 PCDA-mBzA, PCDA-pBzA (Figure. 1)을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한 뒤 가역적인 색전이 현상을 유도하여 가역적센서 제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Figure. 2). 말단의 그룹을 amino benzoic acid로 치환하였을 경우 amide 결합, aromatic interaction, carboxylic acid가 가역적 색전이 현상과 리포좀의 안정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확인 된 가역적 색전이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용하여 자극에 더욱 안정적이고 가역적인 색전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DCDDA-bis-mBzA, DCDDA-bis-pBzA, polydiacetylene 초분자체 (Figure. 3)를 설계 및 합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polydiacetylene 초분자체는 pH, 온도에 의한 자극에 상당히 안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높은 자극에서도 안정적인 가역적 색전이 센서를 제조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Figure 1. Structures of polydiacetylene monomer PCDA-mBzA (a) and PCDA-pBzA (b)

Figure 2. Visible spectroscopic monitoring of PDA solutions prepared with PCDA-mBzA (a) and PCDA-pBzA (b) upon heating and cooling processes..

Figure 3. Structures of polydiacetylene monomers DCDDA-bis-mBzA and DCDDA-bis-pBzA.
저자 이지석1, 박현욱1, 김종만1, 안동준2
소속 1한양대, 2고려대
키워드 polydiacetylene; sensor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