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 한국고분자학회 |
학술대회 | 2005년 가을 (10/13 ~ 10/14, 제주 ICC) |
권호 | 30권 2호 |
발표분야 | 자기조립형 기능성재료 |
제목 | 자기조합 단분자층의 분자구조에 따른 표면에너지와 자기조합 블록 공중합체 박막 형성의 관계 |
초록 | 최근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기존의 반도체 제작 공정에서 패턴 제작에 사용되어온 photolithography 공정이 나노 구조 제작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조합을 통하여 블록 공중합체의 박막에서 형성되는 나노구조를 이용하면 수십 나노미터 수준의 주기를 가지는 패턴들을 제작할 수 있다.1,2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부피비를 조절하여 sphere 구조나 cylinder 구조, lamella 구조등의 다양한 나노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나노구조는 결함을 가지고 있고 임의의 넓은 면적에서 규칙적인 배열을 만들기가 어려워 디바이스의 제작에 바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불규칙적인 나노구조를 원하는 형태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3 자기조합 블록 공중합체의 박막에서 형성되는 나노구조는 substrate와의 계면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배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ubstrate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자기조합 단분자층의 표면에너지를 측정하여 분자구조에 따른 표면에너지를 정량화하고, 자기조합 블록 공중합체의 박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Fig. 1. AFM of PS-PMMA diblock copolymer film on SAM coated substrate after annealing at 180℃ for 72h. 참고문헌 1. S. O. Kim et al., Nature 424, 411 (2003) 2. Park, M. C. Harrison, P. M. Chaikin, R. A. Register, D. H. Adamson, Science 276, 1401 (1997) 3. J. Y. Cheng, A. M. Mayes, C. A. Ross, Nature Materials 3, 823 (2004) |
저자 | 김광현1, 김봉훈2, 김상욱2, 구종민3, 정인재1 |
소속 | 1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2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3LG화학 |
키워드 | 자기조합; 블록공중합체; 표면에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