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4, No.4, 785-790, December, 1993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갖는 키틴유도체의 합성 및 물성 III-에스테르 키틴 유도체의 합성과 용해 특성-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Chitin DerivativesⅢ. -Synthesis and Solubility of Ester Chitin Derivatives-
초록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에 메탄술폰산 존재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과 n-부틸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아세틸 키틴(AC), 프로피오닐 키틴(PC) 그리고 n-부티릴 키틴(BC) 등의 에스테르 형태를 갖는 개질화 키틴을 합성하였고 이들의 구조를 FT-IR과 solid state CP/MAS 13C-NMR spectra로 확인하였다. 에스테르 형태의 키틴유도체는 대체로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의 6번 탄소위치에 치환되었다. 유도체를 유기용매와 수용성 약산 유기용매에서 용해성을 검토하여 포름산에서 세 가지 유도체 모두 좋은 용해성을 나타냈고, 수용성 약산에서는 대부분의 유도체는 팽윤되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ree ester-type chitin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y reacting chitin with acetic anhydride, propionic anhydride and n-butyric anhydride to form acetyl chitin(AC), propionyl chitin(PC) and n-butyryl chitin(BC). Methanesulfonic acid was used as a catalyst. FT-IR spectra and solid state CP/MAS 13C-NMR spectra of three chitin derivatives showed that the substituents were mainly incorporated in the C6 position of chitin. The ester-type chititn derivatives were dissolved well in formic acid and swollen in aqueous acidic solution.
  1. Nishi N, Noguchi J, Tokura S, Shiot H, Polym. J., 11, 27 (1979) 
  2. Somorin O, Nishi N, Tokura S, Noguchi J, Polym. J., 11, 391 (1979) 
  3. Kaifu K, Nishi N, Komai T, Somorin O, Polym. J., 13, 241 (1981) 
  4. Muzzarelli RA, "Chitin," pp. 45 ~ 51, Pergamon Press (1977)
  5. Skjak-Break G, "Chitin and Chitosan," Proceedings of 4th Int'l Conf. or Chitin and Chitosan, pp. 431~436, Norway (1988)
  6. Tokura S, Yoshida J, Nishi N, Hiraoki T, Polym. J., 14, 527 (1982) 
  7. Tokura S, Nishi N, Nishimura SI, Ikeuchi Y, Polym. J., 15, 553 (1983) 
  8. Minke R, Blackwell J, J. Mol. Biol., 120, 167 (1978) 
  9. Kim SJ, Lee YM, J. Korean Ind. Eng. Chem., 3(3), 516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