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ol.11, No.4, 305-311, April, 2001
투명 유전체 PbO-B 2 O 3 - SiO 2 ?Al 2 O 3 의 물성 및 전극(ITO)과의 반응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dielectric in PbO-B 2 O 3 - SiO 2 ?Al 2 O 3 system and investigation of reaction between dielectric and electrode(ITO)
초록
PDP용 투명유전체 재료로 사용되는 PbO?B 2 O 3 ?SiO 2 ?Al 2 O 3 계의 소성과정 중에서 투명전극 (ITO)과의 반응성 및 광학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체막.두께는 12 μm 으로, 온도는 550-58 0 ? C 에서 소성한 후 여러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유전체와 투명전극(ITO)의 반용에서, In 이온이 유전체층으로 확산이동하였으며, Sn 확산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선팽창계수, 유전상수, 유리전이온도,광 투과율은 유전체 조성의 PbO 양에 큰 영향을 받았다. PbO양 증가는 선팽창계수와 유전상수를 증가시킨 반면, 유리전이온도와 광 투과율온 저하시켰다. Al 2 O 3 /B 2 O 3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선팽창계수는 감소, 유전상수는 증가, 광 투과율은 감소하였으며, 유리 전이점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PDP용 투명유전체 재료로 사용되는 PbO?B 2 O 3 ?SiO 2 ?Al 2 O 3 계의 소성과정 중에서 투명전극 (ITO)과의 반응성 및 광학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체막.두께는 12 μm 으로, 온도는 550-58 0 ? C 에서 소성한 후 여러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유전체와 투명전극(ITO)의 반용에서, In 이온이 유전체층으로 확산이동하였으며, Sn 확산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선팽창계수, 유전상수, 유리전이온도,광 투과율은 유전체 조성의 PbO 양에 큰 영향을 받았다. PbO양 증가는 선팽창계수와 유전상수를 증가시킨 반면, 유리전이온도와 광 투과율온 저하시켰다. Al 2 O 3 /B 2 O 3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선팽창계수는 감소, 유전상수는 증가, 광 투과율은 감소하였으며, 유리 전이점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1. Shinoda T, Wakitani M, Nanto T, Awaji N, Kanagu S,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 Devices, 47(1), 77 (2000)
  2. Nobuaki N, Junichi H, Yusuke T, US Patent, 6084559 (2000) (2000)
  3. Murakami T, Suetsugu H, NEC Technical Journal, 52(10), 1 (1999)
  4. Yoshida H, NEC Technical Journal, 51(10), 3 (1998)
  5. Hiromitsu W, Hiroyuki O, Masahiko O, Kazuo H, US Patent, 6,010,973 (2000) (2000)
  6. Masashi A, Shinji K, US Patent, 5,977,708 (1999) (1999)
  7. Shiro T, Hideaki M, Tadahiko U, Koji K, JP Patent, 10338547 (1998) (1998)
  8. Naoya H, Kazuhiro N, JP Patent, 11246233 (1999) (1999)
  9. Kim TY, Sunwoo JH, US Patent, 6097151 (2000) (2000)
  10. Scholze H, Glass, Nature Structure, and Properties, 3rd., Springer-Verlag, New York, pp. 185-193,316-319 (1991) (1991)
  11. Buchanan RC, Zuegel MA, J. Am. Ceram. Soc, 51(1), 28 (1968)
  12. Vogel W, Glass Chemistry, 2nd ed., pp. Springer-Verlag Heidelberg New York, 157-161 (1994) (1994)
  13. Kim HJ, Chung YS, Joo K, Auh KH, J. Korean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9(1), 50 (1999)
  14. Chang MS, Lee YK, Ryu BG, Park MH,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Information Display Society Conference, 181 (2000)
  15. Kim DN, Lee JY, Kim HS, Huh JS, Proceedings of the 1st Korean Information Display Society Conference, 95 (2000)